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3/10 (문11~1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문11

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 11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11 정답 풀이 (정답 : ②)

호족 세력 숙청, 노비안검법, 후주와 외교, 제위보 –> 고려 광종

① 폐정 개혁을 목표로 정치도감을 설치하였다. ⇨ 고려 충목왕

​② 광덕, 준풍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 고려 광종

​③ 예의상정소에서 상정고금예문을 편찬하였다.⇨ 고려 인종

​④ 전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 고려 성종

​⑤ 관리에게 등급에 따라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 고려 경종

<< 고려 광종 >>

고려 광종 업적 설명 표





🟦 문12

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 12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12 정답 풀이 (정답 : ③)

(가) 만부교 사건(942, 고려 태조)

⇨ 고려 태조 재위 24년이자 요태종 재위 15년차인 942년 10월, 거란이 세운 요나라가 화친을 맺기 위해 고려에 사신 30명과 선물로 낙타 50마리를 보냈다. 하지만 고려는 도리어 요나라의 사신들을 모조리 섬으로 유배보냈고 이 중 일부는 자살하거나 사약을 받아 죽기도 했다. 그리고 고려는 선물로 데려온 낙타 50마리를 개경 만부교 밑에 묶어서 굶겨 죽이는 것으로 화답했다. 양국의 관계는 파국으로 치달았고, 후에 거란이 3차례에 걸쳐 고려를 침략하는 간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낙타 50마리가 당시 고려 수도 개경의 만부교 밑에서 굶어 죽었기에 만부교 사건이라고 부른다.

(나) 거란 2차 침입(1010, 고려 현종)

⇨ 1010년(고려 현종 원년)에 거란 성종이 강조(康兆)가 목종을 시해하고 현종을 옹립한 것을 명분으로 고려를 침략한 전쟁입니다. 거란은 40만 대군을 이끌고 개경까지 함락시키고, 고려는 현종이 피난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① 묘청이 칭제 건원을 주장하였다. ⇨ 1135년(고려 인종13)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② 강감찬이 흥화진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 거란 3차 침입때(1018, 고려 현종)

​③ 서희의 활약으로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거란 1차 침입(993, 고려 성종)

​④ 최우가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 항전하였다. ⇨ 몽골의 1차 침입 이후 강화도 천도(1232, 고려 고종)

​⑤ 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동북9성을 개척하였다. ⇨ 고려 예종(1107)

<< 거란의 침입 >>

거란의 침입 설명 표





🟦 문13

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 13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13 정답 풀이 (정답 : ①)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 고려

① 기마인물형 토기 ⇨ 신라

​②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 고려

​③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 고려

​④ 나전 국화 넝쿨무늬 합 ⇨ 고려

​⑤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고려 전기





🟦 문14

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 14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14 정답 풀이 (정답 :①)

(가) 김보당의 난 (1173, 고려 명종)

⇨ 김보당의 난은 1173년(명종 3) 8월에 동북면병마사로 있던 김보당 등 문신 계열이 동계에서 일으킨 반란이다. 김보당은 무신 정변 이후, 공부시랑과 간의대부 등의 관직에 임명되었다. 따라서 그의 반란은 무신 정변에 소극적으로 대처한 문신 계열이 그를 중심으로 하여, 이의방 등의 일방적인 정국 주도에 반발해 일으킨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반란을 통해 거제에 부처 되었던 전 왕인 의종을 경주로 피신시켜 구지배 체제로의 복구를 시도했지만, 문신의 대대적인 살육과 의종 시해로 끝을 맺었다.

(나) 최충헌의 봉사 10조 (1196, 고려 명종)

⇨ 봉사 10 조는 고려 명종 때 최충헌 형제가 왕에게 올린 시무책 10가지입니다. 이 조항들은 당시 고려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을 담고 있습니다. 

(다) 삼별초의 난 (1270, 고려 원종)

⇨ 삼별초항쟁은 1270년 6월 삼별초 해산령에 불만을 가진 삼별초 장병들이 개경환도를 거부하고 여원연합군에 대해 펼쳤던 3년간의 항쟁이다. 1270년 무인정권이 종식되자 원종은 몽고의 지시에 따라 출륙환도를 단행했다. 출륙환도하면 몽고군의 보복이 기다리는 상황에서 장군 배중손은 삼별초를 규합해 원종을 폐하고 왕족인 승화후 온을 국왕으로 옹립하고 진도·제주도로 거점을 옮기면서 3년 동안 저항했다. 고려를 예속화하려던 몽고의 정책과, 예속화를 감수하면서도 자신의 특권적 지위를 보호하려던 국왕 및 그 일파의 행동에 반발하여 항거한 병사들의 항쟁이었다.

① (가) – (나) – (다)

​② (가) – (다) – (나)

​③ (나) – (가) – (다)

​④ (나) – (다) – (가)

​⑤ (다) – (가) – (나)





🟦 문15

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 15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15 정답 풀이 (정답 : ④)

7재 설치 –> 고려 예종

무학재 폐지 –> 고려 인종

① 서얼이 통청 운동을 전개하였다. ⇨ 조선 후기

​② 사창절목에 따라 사창제가 시행되었다. ⇨ 흥선대원군

​③ 왕조 교체를 예언하는 정감록이 유포되었다. ⇨ 조선 후기

​④ 병자에게 약을 지급하는 혜민국이 설치되었다. ⇨ 고려 예종

​⑤ 국산 약재와 치료방법을 정리한 향약집성방이 간행되었다. ⇨ 조선 세종

<< 의료, 의료기관 >> – (고려 vs 조선)

의료,의료기관 (고려vs조선) 설명 표 1
의료,의료기관 (고려vs조선) 설명 표 2



💖💖 공유 부탁드립니다! 💖💖

📘 집중력 있는 공부를 위해서는 좋은 환경이 필수입니다. 필기, 강의 수강, 자료 정리에 유용한 학습용 태블릿과 노트북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