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2/10 (문06~1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문06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6 정답 풀이 (정답 : ⑤)

삼국통일, 신문왕 아버지 –> 문무왕 / 대왕암 –> 문무대왕릉

① ​이사부를 보내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 신라 지증왕

② 건원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 신라 법흥왕

​③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 신라 신문왕

​④ 거칠부에게 명하여 국사를 편찬하였다 ⇨ 신라 진흥왕

​⑤ 지방관을 감찰하고자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 신라 문무왕

<< 문무왕 >>

신라 문무왕 업적 설명

👉 자세한 “삼국시대 왕 업적” 관련 내용을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 문07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7 정답 풀이 (정답 : ⑤)

발해는 대외무역로인 5도(영주도, 조공도, 신라도, 일본도, 거란도)를 가지고 있었다.

발해는 전략적 요충지에 5경을 설치하였다.

① ​왜에 칠지도를 만들어 보냈다. ⇨ 백제 근초고왕

② 9서당 10정의 군사조직을 운영하였다. ⇨ 신라 신문왕

​③ 광평성을 비롯한 각종 정치 기구를 마련하였다. ⇨ 후고구려 궁예

​④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

​⑤ 서적 관리, 주요 문서 작성 등을 위해 문적원을 두었다. ⇨ 발해

<< 발해의 중앙관제 >> – 3성 6부제를 골격

발해의 중앙관제 설명 - 1
발해의 중앙관제 설명 - 2





🟦 문08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8 정답 풀이 (정답 : ②)

9산문, 철불과 승탑 유행 –> 신라 하대 “선종”의 유행

①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를 거행하였다 ⇨ 고려 시대 초제는 도교적인 의식으로, 하늘과 땅, 별 등 신에게 제사를 지내 재앙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행사입니다. 도사가 주관하며,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② 참선과 수행을 통한 꺠달음을 강조하였다 ⇨ 선종은 지방 호족들의 지지를 얻어 성장하며, 교학 불교의 전통에 반하여 개인주의적 경향을 띠었습니다. 선종은 “見性悟道”를 주장하며, 밖의 간섭을 배제하고 내면의 깨달음을 강조했습니다.

​③ 시경, 서경, 역경 등을 주요 경전으로 삼았다 ⇨ 조선 시대 유교 경전은 사서오경과 소학이 주요하게 읽혔습니다. 사서(四書)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이며, 오경(五經)은 시경, 서경, 춘추, 예기, 주역입니다

​④ 신선 사상을 기반으로 불로장생을 추구하였다 ⇨ 도교는 신선사상을 기반으로 노장사상·유교·불교와 여러 신앙 요소들을 받아들여 형성된 종교입니다

​⑤ 인내천 사상을 내세워 인간 평등을 주장하였다 ⇨ 동학의 인내천 사상은 “사람이 곧 하늘이다”라는 의미로, 모든 인간이 평등하고 신분이나 계급을 초월하여 하나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는 동학의 핵심 교리 중 하나이며, 사회 개혁과 평등 사회를 추구하는 중요한 사상입니다

<< 선종의 등장 >>

신라시대 선종의 등장 설명





🟦 문09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9 정답 풀이 (정답 : ②)

장보고(통일신라시대)에 대한 설명입니다.

① ​화왕계를 지어 국왕에게 바치다

⇨ 설총은 통일신라의 3대 문장가로 이두 문자를 집대성한 학자이다. 아버지는 원효대사이고 어머니는 요석공주이다. 경사에 해박하여 우리말로 구경을 읽고 후생을 가르쳐 유학의 종주가 되었다. 향찰(이두)을 집대성, 정리하여 육경을 읽고 새기는 방법을 발명함으로써 한문을 국어화하고, 유학 또는 한학의 연구를 쉽게 그리고 빨리 발전시키는 데 공이 컸다. 설총이 신문왕에게 치자의 도리를 장미꽃과 할미꽃의 우화를 통해 간한 「화왕계」가 『삼국사기』 설총열전에 실려 전한다.

② 산둥반도에 적산 법화원을 창건하다 ⇨ 장보고

​③ 외교 문서인 청방인문표를 작성하다

⇨ 강수는 외교문서에 능하였다. 그는 당시 당나라에 갇혀 있던 김인문을 석방해 줄 것을 청한「청방인문표(請放仁問表)」를 지어 당나라 고종을 감동시켜 곧 김인문을 풀려나게 하였다.

​④ 격황소서를 지어 세상에 이름을 떨치다

⇨ 최치원은 당에 유학한 통일신라의 학자, 문장가, 관료이다. 당을 중심으로 한 국제 질서를 인정하면서도 신라의 고유성과 토착성을 알리려고 하였다. 특히, 사람에 도가 있고 사람은 나라의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여, 인간 중심의 보편성과 그에 따른 다양성을 강조하여 신라의 세계화를 이끌었다. 다만, 생존 당시 신라가 쇠퇴하여 정치 이념과 사상은 신라 사회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이후 고려 국가의 체제 정비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문장은 동아시아 문서의 형식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어서 조선시대에도 특별히 주목을 받았다.

​⑤ 구법순례기인 왕오천축국전을 저술하다.

⇨ 혜초는 통일신라시대떄 인도 여행기인 『왕오천축국전』과 『대승유가만수실리왕경서』를 저술한 승려이다. 당에 유학하여 장안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당(唐)의 밀교 승려 금강지(金剛智)와 불공(不空)에게 배웠고, 말년에 당나라 오대산에서 활동하였다.





🟦 문10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10 정답 풀이

935년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김부)가 고려에 귀부하였다. 이에 고려왕 왕건은 그에게 경주지역을 식읍으로 하사하고, 경주의 사심관으로 임명하였다.

① ​안승이 보덕국왕으로 임명되었다. ⇨ 신라 문무왕이 임명(674년)

② 신숭겸이 공산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공산 전투는 927년(고려 태조 10) 지금의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八公山) 일대에서 후백제견훤(甄萱)과 태조 왕건(王建) 사이에 벌어졌던 큰 전투이다. 견훤은 공산전투를 대승리로 장식하여 경상도 지역을 석권하는 위세를 떨쳤으며, 성주와 칠곡으로 진출하여 고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고 하였다.

​③ 원종과 애노가 사벌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 통일신라 시대 말기 진성여왕 3년(889)에 원종과 애노를 필두로 일어난 농민 반란

​④ 왕건이 일리천에서 신검의 군대를 물리쳤다.

⇨ 고려 태조 왕건은 후삼국 시대 마지막 전투였던 일리천 전투에서 후백제의 신검왕을 격파하고 후삼국을 통일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전투는 936년 9월,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일대에서 벌어졌으며, 왕건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습니다.

​⑤ 견훤이 고창 전투에서 고려군에게 패배하였다.

⇨ 930년 (경순왕 4) 정월에 발생한 전투로서 고려가 대승을 거두어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는 유리한 고지를 마련하였다. 고창군은 현재 안동 지역으로 고려와 후백제의 격전지였다. 이미 공산전투에서 고려에 대승을 거둔 후백제 견훤은 고창군까지 도달하여 고려 왕건과 싸웠으나 8천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패하였다.

<< 고려 건국 (중세사회 성립) >>

고려 건국 (중세사회 성립) 설명표 1
고려 건국 (중세사회 성립) 설명표 2



💖💖 공유 부탁드립니다! 💖💖

📘 집중력 있는 공부를 위해서는 좋은 환경이 필수입니다. 필기, 강의 수강, 자료 정리에 유용한 학습용 태블릿과 노트북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