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제74회 한능검 심화-1/10 (문01~05)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문01

25년 한능검(제74회) 문01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1 정답 풀이 (정답 : ③)

“암사동 유적, 빗살무늬 토기, 갈돌, 갈판, 유구인 집터”신석기 시대의 설명임을 알 수 있다.

① 목책과 환호 등 방어시설을 갖추었다. ⇨ 청동기 시대

​②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 고려시대

​③ 농경과 목축을 통해 식량을 생산하였다. ⇨ 신석기 시대

​④ 지배층의 무덤으로 고인들을 축조하였다. ⇨ 청동기 시대

​⑤ 거푸집을 이용하여 세형동검을 제작하였다. ⇨ 철기 시대

<<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 >>

아래의 링크에서 전 시대 비교표를 확인해보세요~!





🟦 문02

25년 한능검(제74회) 문02번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2 정답 풀이 (정답 : ⑤)

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가는 고조선이다.

① 여러 가(加)들이 사출도를 다스렸다. ⇨ 부여

​②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개최하였다. ⇨ 고구려

​③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옥저

​④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다. ⇨ 동예

​⑤ 왕 아래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을 두었다. ⇨ 고조선

<< 고조선 >>

고조선 설명자료-1
고조선 설명자료-2





🟦 문03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3 정답 풀이 (정답 : ​②)

장군총 –> 장군총(將軍塚)은 오늘날 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에 위치한 고구려 대형 적석총(돌무지무덤)이다. 무덤 양식은 돌을 쌓아 만든 적석총으로서, 장군총은 고구려 적석총의 가장 발전된 형태로 알려져 있다. 또 현재 남아 있는 고구려 적석총 가운데 당시의 모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무덤이기도 하다. 무덤은 대략 4~5세기 무렵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무덤의 주인에 대해서는 현재 광개토왕 설과 장수왕 설로 나뉘어 있다.

​① 녹과전을 지급받는 관리 ⇨ 고려 후기에 녹봉(祿俸)을 보충할 목적으로 관리에게 나누어 주었던 토지이다. 고려 정부가 강도(江都)에 천도 중이던 1257년(고종 44)에 분전대록(分田代祿)의 원칙을 마련하고 개경으로 환도한 뒤 1272년(원종 13)에 시행한 제도입니다

​② 경당에서 수련하는 청년 ⇨ 고구려의 사학교육기관을 칭하는 말로, 유교 경전을 읽고 궁술을 연습하는 곳이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③ 팔만대장경판을 만드는 장인 ⇨  고려시대인 1236년(고종 23년)부터 1251년(고종 38년)까지 15년에 걸쳐 간행되었다. 한번 만들었던 대장경을 다시 만들었다고 해서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이라고도 부른다. 판수가 8만여 개에 달하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 불립니다.

​④ 지방의 22담로에 파견되는 왕족 ⇨ 백제의 지방 행정 구역으로, 각 담로에는 왕자나 왕족이 수장으로 임명되어 파견되었습니다

​⑤ 황룡사구층목탑의 축조를 건의하는 승려 ⇨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의 건의로 건립하였습니다.





🟦 문04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4 정답 풀이 (정답 : ②)

(가) 관산성 전투 (554년)

관산성전투는 554년에 관산성에서 백제와 신라가 싸워 백제가 대패한 전투이다. 관산성은 지금의 충청북도 옥천이다. 이 전투는 고구려의 정치적 혼란을 계기로 백제, 신라, 가야가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공격한 데서 시작되었다. 이 결과 백제는 한강 하류를, 신라는 한강 상류를 자치하였다. 그러나 신라 진흥왕은 백제가 차지한 한강 하류 지역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이것이 직접적인 동기가 되어 관산성에서 전투가 일어났다. 성왕이 신라의 기습공격으로 전사하며 패배하였다. 이후 나제동맹이 완전히 깨져 양국은 적대관계가 지속되었다.

(나) 대야성 전투 (642년)

640년대 접어들면서 백제는 신라에 대해 적극적인 공세를 취하였다. 642년(의자왕 2) 7월 백제 의자왕(義慈王)은 친히 군사를 거느리고 신라 서쪽의 40여 성을 함락시켰으며, 8월에는 고구려 군사와 연합해 신라의 대중국교통 거점인 당항성(黨項城: 지금의 경기도 화성시 남양동)을 공격하였다. 대야성전투는 이러한 백제의 공세가 절정에 달한 사건이었다.

642년 8월의자왕은 장군 윤충(允忠)에게 군사 1만인을 주어 신라의 대야성을 공격하게 하였다. 대야성 도독(都督)은 김춘추의 사위인 김품석(金品釋)이었다. 김품석은 재지세력인 사지(舍知) 검일(黔日)의 아내를 빼앗음으로써 대야성 지방의 상당한 재지세력들이 이탈하였다. 검일은 이 일을 원망하다가 백제군과 내통해 창고에 불을 질렀다.

백제 군사가 대야성을 공격해 왔을 때 재지세력인 죽죽(竹竹)과 용석(龍石)은 백제군에 대항하여 끝까지 싸우다 전사하였으나 김품석은 싸우지도 않고 보좌관인 아찬(阿飡) 서천(西川)의 주장에 따라 항복하여 가족과 함께 죽임을 당하였다. 그리고 대야성의 남녀 1천여 인은 사로잡혀서 백제의 서쪽지방으로 천사(遷徙)되었다.

① 백제가 국호를 남부여로 고쳤다 ⇨ 538년

​② 진흥왕이 대가야를 공격하여 복속시켰다 ⇨ 562년 진흥왕이 이사부를 시켜 대가야 정복

​③ 계백이 이끈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패배하였다. ⇨ 660년 백제 멸망

​④ 김춘추가 당으로 건너가 군사 동맹을 체결하였다 ⇨ 648년 신라 진덕여왕 때

​⑤ 신라가 한강 하류를 차지하여 신주를 설치하였다. ⇨ 553년





🟦 문05

(출처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문05 정답 풀이 (정답 : ⑤)

능산리 고분군 –> 백제 사비시기

송산리 6호분 –> 백제 웅진시기

① 일길찬, 사찬 등의 관등이 있었다 ⇨ 신라

​② 지방 장관으로 욕살, 처려근지 등이 있었다 ⇨ 고구려 지방장관

​③ 특산물로 단궁, 과하마, 반어피가 있었다 ⇨ 동예

​④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다 ⇨ 고조선

​⑤ 왕족인 부여씨와 8성 귀족이 지배층을 이루었다 ⇨ 백제

<< 백제 고분 >>

백제 고분 정리



💖💖 공유 부탁드립니다! 💖💖

📘 집중력 있는 공부를 위해서는 좋은 환경이 필수입니다. 필기, 강의 수강, 자료 정리에 유용한 학습용 태블릿과 노트북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
위로 스크롤